프랑스 인상주의 작곡가. 생 제르맹 출생. 도자기상의 아들로 태어나 파리에서 음악교육을 받았다. 파리음악원 재학시절 그는 솔페주부문(Solf ge:階名唱法)·피아노부문에서 탁월한 재능을 보였다. 졸업하면서 로마대상을 받고, 수상자로서 2년간의 로마 체류 의무를 수행하면서 관현악곡 《봄》과 합창곡 《선택받은 소녀》를 작곡하였는데, 《선택받은 소녀》는 1893년 파리에서 초연되어 호평을 받았다.
같은 해 겨울에 현악 4중주곡을, 이듬해 겨울에는 출세작인 관현악곡 《목신(牧神)의 오후》의 전주곡 등 걸작품을 계속 발표하였으며, 그 무렵까지의 몇 해 동안은 전에 열중했던 바그너에 대해 비판을 가했다. 또한 모스크바 체재 중에 접했던 러시아음악과 무소르크스키의 《보리스 고두노프》 등에서 영향을 받았으며, 말라르메·루이스 등 상징파 시인들과 교제하였다.
앞에서 언급된 현악 4 중주곡 및 《목신의 오후》의 전주곡에서 《빌리터스의 노래》와 피아노 모음곡 《피아노를 위하여》, 관현악을 위한 《야상곡》을 거쳐 오페라 《펠레아스와 멜리장드》의 완성에서 초연에 이르는 10년간(1893∼1903)은 드뷔시에게 있어서 그의 개성적인 양식이 확립된 시기에 해당된다.
이 시기에 그는 바로크시대부터 낭만주의시대까지 오랫동안 지배적이었던 기능화성법에 의한 고전적 조성을 극복하고, 자기 나름의 개성적 음색과 율동구조를 확립, <인상주의 음악>의 길을 열었으며, 1905년 이후 그의 <인상주의 음악>은 더욱 원숙해져 갔다.
이 무렵 관현악곡 《바다》, 피아노곡집 《영상 1》 《영상 2》 《판화》가 작곡되었다. 그는 순수한 작곡가로서 자유롭게 작곡에만 전념하였으며, 인상주의 음악의 시조로서 근대음악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 그외 그의 작품에는 피아노 모음곡 《어린이의 세계》, 관현악을 위한 《영상 3》, 피아노곡집 《전주곡집 1》, 《전주곡집 2》, 가곡집 《프랑스와 비용의 시에 의한 3개의 발라드》 발레곡 《유희》, 피아노곡으로 《12개의 연습곡》 《3개의 소나타》 등이 있다.
(블로그 '상상의 라이프 2.0')
![]() ![]() |
클로드 드뷔시 | '바다' - 3개의 교향적 스케치 | 관현악 | 43 | ||
![]() ![]() |
클로드 드뷔시 | 피아노 모음곡 '어린이 차지' | 건반 | 20 | ||
![]() ![]() |
클로드 드뷔시 | 달빛 (베르가마스크 모음곡 중) | 건반 | 27 | ||
![]() ![]() |
클로드 드뷔시 | 전주곡집 제1권 | 건반 | 29 | ||
![]() ![]() |
클로드 드뷔시 | 목신의 오후에의 전주곡 (Prelude to Afternoon of a Faun) | 관현악 | 33 | ||
![]() ![]() |
클로드 드뷔시 | 전주곡 1권 8번, '아마빛 머리카락의 소녀' | 건반 | 31 | ||
![]() ![]() |
클로드 드뷔시 | 전주곡집 제2권 | 건반 | 31 | ||
![]() ![]() |
클로드 드뷔시 | 판화 | 건반 | 26 | ||
![]() ![]() |
클로드 드뷔시 | 관현악을 위한 영상 3집 | 관현악 | 16 | ||
![]() ![]() |
클로드 드뷔시 | 베르가마스크 모음곡 | 건반 | 22 | ||
![]() ![]() |
클로드 드뷔시 | 3개의 야상곡 - 여성합창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 관현악 | 21 | ||
![]() ![]() |
클로드 드뷔시 | 아라베스크 | 건반 | 11 | ||
![]() ![]() |
클로드 드뷔시 | 기쁨의 섬 | 건반 | 16 | ||
![]() ![]() |
클로드 드뷔시 | 피아노 모음곡 '피아노를 위하여' | 건반 | 16 | ||
![]() ![]() |
클로드 드뷔시 | 바이올린 소나타 | 실내악 | 15 |
날짜 / 기간 | 요약 / 상세내용 |
---|---|
1884 | 칸타타 <돌아온 탕아> (L'enfant prodigue)로 로마대상 수상 칸타타 <돌아온 탕아> (L'enfant prodigue)로 로마대상을 수상하고, 이후 3년간 로마에 유학함. |
1889 | 가믈란 음악을 접하고 큰 감명을 받음 파리 만국박람회에서 인도네시아의 전통 타악기 합주음악인 가믈란 음악을 듣고, 유럽 음악과는 다른 독특한 매력에 큰 감명을 받음. |
1899 | 릴리 텍시에와 결혼 패션 모델이었던 릴리 텍시에(Lily(Rosalie) Texier)와 결혼함. |
1904 | 엠마(Emma Bardac)와의 염문 1904년 유뷰녀였던 엠마를 만나 사랑에 빠지고, 부인 릴리는 자살 소동을 벌임. 엠마는 1905년 드뷔시의 딸을 출산하고, 둘은 1908년 재혼. |
1911-06-13 | 스트라빈스키 만남 스트라빈스키의 '페트루슈카' 초연 때 드뷔시와 스트라빈스키 만남. |
이 아티스트에 대한 생각 (0)